시놉시스 |
---|
花(화) (기획의도) 때로는 사랑이 몰이해를 낳는다. 몰이해는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, 결국은 상실을 가져온다. 우리는 사랑 때문에 상처받지만, 또한 사랑 때문에 상처를 딛고 나아간다. 상처받고 아파도 우리는 다시 피어나야 함을 말하고 싶었다. 진 가지에 이윽고 다시 꽃이 피어나듯. 서로를 위하는 일이, 서로에게 상처를 주게 되는 것. 감독 : 나아리 (주요등장 인물) 공선숙 (여, 60년대생 –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, 한국무용가, 화진 母) 사랑하는 내 딸은 나만큼, 아니, 나보다도 더 춤을 사랑해. 남편과 사별한 후 한국무용을 하며 딸 화진과 아들 진호, 두 자식을 키워냈다. 다행스러운 것은 한국무용에 재능이 넘쳤다는 것. 포기하지 않고 한평생을 바쳐 한국무용을 하며 두 자식을 키워내는 삶. 실로 고된 삶이었다. 이리저리 휜 노송(老松) 같은 사람, 고집스러움과 단아함이 있는 사람. 하지만 그 때문일까, 넘치는 재능에도 불구하고 명인이 되지 못했다. 딸 화진에게 자신을 투영하며, 딸을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그렇기에 오히려 딸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지 못한다. 그저 자신의 뒤를 이어 화진이 꼭 한국무용 명인이 되어 주기를 바랄 뿐. 그러던 중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, 자식들에게 상처가 될까 이를 감춘다. 그리고 자신이 죽기 전에 자신의 모든 것을 물려주고자 화진을 더 혹독하게 대하지만 이를 모르는 화진은 그저 춤이 더 싫어지기만 할 뿐. 선숙은 왜 하필 이 시기에 딸이 방황하는 건지 이해할 수 없다. 그리고 화진과 정면으로 충돌. 자신의 사랑이 딸에게 다른 모습으로 받아들여졌을 수 있음을 깨닫는다. 화진과의 관계를 바로잡으려 하지만 화진은 여행을 떠나고, 선숙은 화진에게 한 편의 시를 남긴 채로 세상을 떠난다. 박화진 (여, 30대 중반, 한국무용가, 선숙의 딸이자 소영의 엄마) 엄마와 함께 있는 시간이 좋았어. 엄마는 몰랐겠지. 나보다 춤을 더 사랑했으니까. 아빠 기억은 흐릿하다. 진호가 태어나고 얼마 안 되어 세상을 떠나셨으니까. 엄마는 매일같이 춤을 췄고, 춤을 추지 않을 때는 어른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느라 바쁘셨다. 갓난쟁이 동생에게는 얼굴을 비추셨지만, 내게는 항상 “우리 착한 딸, 혼자 잘 있을 수 있지?” 뿐이었다. 엄마가 추는 춤을 뒤에서 따라했을 때, 엄마가 나를 보고 웃었다. 그리고 나에게 춤을 가르쳐 주셨다. 엄마와 있는 시간이 늘어났다. 엄마를 사랑했고, 엄마와 오래오래 함께 있고 싶었고, 엄마와 오래 있을 수 있게 해 준 춤이 좋아졌다. 혼자 있을 때도 엄마한테 칭찬받을 생각을 하며 춤 연습을 하면 외롭지 않았다. 하지만 춤추지 않는 나라도, 엄마는 사랑해 주셨을까. 그건 잘 모르겠다. 웃는 얼굴보다 무서운 얼굴과 회초리를 보는 날이 점점 많아졌고, 여전히 엄마는 만족을 못 하신다. 엄마는 나보다 춤을 사랑한다는 생각이 점점 많이 든다. 혼돈과 부담감에 덜컥 결혼으로 도피했고 소영이를 가졌지만, 이제 사랑하는 내 딸 소영이는 나 혼자 먹여살려야 하는데, 할 줄 아는 건 춤 뿐이다. 춤은, 사랑하는 엄마와의 시간이었다. 그리고 이제, 춤은 사랑하는 내 딸을 먹여살릴 수단이다. 그런데 엄마는 자꾸 내가 춤을 사랑한다면서 내게 명인을 강요하신다. 명인, 되면 좋지. 하지만 나는 춤이 좋아서 춤을 시작한 게 아니라, 엄마가 좋아서 춤을 시작했어요. 엄마는 왜 나를 제대로 봐 주지 않나요. 어린 박화진 (여, 10대 중반, 선숙의 딸) 엄마, 만약에, 내가 춤을 안 추겠다고 해도, 그래도 나를 사랑해? 엄마를 따라 춤을 추면, 엄마가 웃었다. 엄마에게 춤을 배우면서, 엄마와 오래 있을 수 있게 되었다. 처음부터 춤이 좋았던 것은 아니지만, 사랑하는 엄마와 오래오래 함께 있고 싶어서 춤을 췄다. 추다 보니 춤이 좋아졌다. 혼자 있을 때도 엄마한테 칭찬받을 생각을 하며 춤 연습을 하면 재미있었다. 외롭지 않았다. 하지만 내가 춤을 안 추겠다고 하면, 엄마는 어떤 얼굴을 할까. 그건 잘 모르겠다. 엄마가 우리를 키우느라 고생하시는 걸 안다. 그러니까 엄마한테 짐이 되고 싶지 않다. 좋은 아이이고 싶다. 착한 맏딸이고 싶다. 그런데 내가 너무 힘들다. 웃는 얼굴보다 무서운 얼굴과 회초리를 보는 날이 점점 많아졌고, 여전히 엄마는 만족을 못 하신다. 점점 엄마는 나보다 춤을 더 사랑한다는 생각이 든다. 박화진 (20대.) 내가 춤을 시작한 건, 엄마를 사랑하기 때문이었다. 그리고 다시, 춤을 시작한 건 사랑하는 내 딸 때문이었다. 그런데 엄마는 자꾸, 나와 엄마를 동일시하는 것 같다. 엄마, 나는 춤을 사랑하지 않아요. 나는 춤이 좋아서 춤을 시작한 게 아니라, 엄마가 좋아서 춤을 시작했는데. 엄마는 언제쯤 내 마음을 알아주실까. 박화진 (30대.) 박진호 (남, 20대 중후반, 태권도 선수, 선숙의 아들) 어차피 지나간 일인데 그냥 좋게좋게 넘어가지. 이렇게 해서 누나가 얻는 게 뭔데? 태권도 선수. 본인의 적성을 잘 찾아서 하고 싶은 일을 잘 선택한 무난한 인생. 엄마는 춤추고 돈 벌고 바빴다. 나이 터울이 좀 나는 누나 손 잡고 쫄레쫄레 돌아다녔던 기억이 유년 시절에 가득. 하고 싶은 일이 생기면 엄마는 항상 하게 해 주셨고, 딱히 돈에 구애받지 않고 가지고 싶은 것 다 얻으면서 잘 자랐다. 누나가 고생한 건 알고 있고 지금도 누나가 원해서 춤을 추는 게 아니라는 건 알지만, 그래서 그게 뭐. 이미 지난 일이고 결국 그거로 돈 벌고 살고 있잖아. 춤을 좋아하기는 하잖아. 그거면 된 거 아냐? 굳이 이제 와서 지난 일 들추며 가족 시끄럽게 해서 누나가 얻는 게 뭔데? 싶다. 대회를 앞두고 있어서 이전보다는 얼굴을 덜 비추지만, 조카 소영을 살뜰히 챙긴다. 정소영 (여, 9-11살, 화진의 딸) 소영이는, 엄마랑, 할머니랑, 삼촌이랑, 오래 오래 같이 행복하면 좋겠어! 엄마랑 할머니는 매일 춤 연습만 해. 삼촌은 대회 준비 하느라 잘 안 와. 엄마는 맨날 재미없는 공부만 시키고. 엄마는 내가 할머니한테 춤 배우는 게 싫은가 봐. 그러면 엄마가 나 춤 가르쳐 주면 좋겠다. 엄마랑 온종일 같이 있게. 나는 엄마랑 하루 종일 같이 있어서 좋고, 엄마는 할머니한테 안 혼나도 되고. 학교에서 사자성어 배웠는데, 이런 걸 일타이피라고 했어! (일석이조야.) 난 엄마 얼굴 찌푸려지는 거 싫어. 엄마 웃는 거 정말 예쁜데, 매일 웃었으면 좋겠는데, 엄마 울면 나 싫어. 할머니 너무 좋아하는데, 할머니가 엄마 혼낼 때는 할머니 미워. 공선숙 : 엄격함. 소나무. 딸의 입장을 고려하지 못함. 엄마가 모르는 건 알지만 속상해. 라는 마음이 강하다고 생각해. 모르는 거 아는데 왜 알려고도 하지 않아? 그래서 내가 이리 표현을 하는건데 왜 어린애처럼 구니. 왜 이제와서 이래. 라고 하면 더 상처받는다. 라고 생각할 것 같다는 뭐 그런 거 할머니도 큰 딸인 적 있었을테고 큰 딸은 이미 큰 딸이고 손녀도 어쩌면 큰 딸이 될까 걱정되고… 결국 할머니(우리나라 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에 태어난 여성 어른들)들이 딸자식한테 설움을 대물림하는 이유는… ‘보고 배운 게 그래서’ 와 ‘몰라서 그랬다’ 이 두 가지거든… 내가 못한 거 내 자식이 대신 이뤄줬으면 하는 동일시도 있겠고. 엄마를 사랑해서 그걸 받아주고, 아닌 게 아니라는 말을 못한 거 안한 거… 그거도 다 사랑이잖아. |
구분 | 정보 |
영화코드 | 20224636 |
영화명(국문) | 화 |
영화명(영문) | flow |
제작연도 | 2021 |
개봉일 | |
영화유형 | 단편 |
제작상태 | 기타 |
제작국가 (전체) |
한국 |
영화장르 (전체) |
기타 |
영화감독 | 나아리 |
배우 | 허철환 |
리소스제공 | 영화진흥위원회(kofic) |